스토리텔링은 스토리(story) + 텔링(telling)의 합성어로, 상대방에게 알리고자 하는 바를 재미있고 생생한 이야기로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것을 말합니다. 게임스토리텔링은 플레이어(유저)의 엔터테인먼트를 충족시켜주기 위해 창작되어지고 게임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. 게임스토리텔링전공에서는 창의적인 생각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표현하는 것을 배우게 됩니다.
사람들이 원하는 새로운 게임소재를 발굴하고 스토리를 만들어라!우리가 집을 짓기 전에 고민하는 것들이 무엇일까요? 어떤 디자인으로 몇 층을 짓고 외벽은 어떻게 하는 등 완성된 집을 상상하면서 설계를 하는 것처럼 게임의 컨셉 설정은 완성된 게임의 모습을 상상하면서 게임의 소재를 발굴하고 재미있는 아이디어 구상을 하는 작업으로 게임 개발의 첫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.
주요과목 | 내용 |
---|---|
게임기획기초 | 게임 제작 과정에서 게임 기획의 역할과 중요성을 이해하는 한편, 다양한 게임을 기획하고 전문적인 게임 디자인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한다. |
게임분석 | 기획·그래픽·프로그래밍 작업 내용은 물론, 시나리오, 사운드, 마케팅, 관리 방식 등을 분야별로 분석하고 게임제작 시 고려할 사항을 유추하는 능력을 학습한다. |
3D컴퓨터애니메이션 | 삼차원 캐릭터 및 물체의 애니메이션을 이해하고 움직임을 제작할 수 있다 |
게임스토리보드 | 스토리텔링의 구체적 의미와 시각적 구성 체계, 그리고 그 실제적 작업방식을 학습한다 |
게임시나리오 | 게임 시나리오의 작성과 관련하여 체계화된 작법 이론을 습득하고,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게임 시나리오의 창작 능력을 배양한다 |
게임심리학 | 게임의 기획·제작·운영 전반에 걸쳐 응용할 수 있는 심리학 지식을 익히고, 심리학적 마인드를 갖도록 한다. |
게임창작기초 | 창작의 기본자세와 기본마인드를 배우고, 기존 작품을 바라보는 새로운 안목과 이를 창의적으로 재구성해 본다. |
게임커뮤니케이션방법론 | 게임 개발 프로젝트 진행과 관련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법론을 학습해 게임 개발자에게 요구되는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익힌다. |
게임학개론 | 게임의 플랫폼별 분류, 장르별 특징, 게임의 구성 요소 및 제작 과정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학습한다. |
문예창작 | 창작의 기회를 제공하여 글쓰기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점차 본격적인 습작기로 접어들게 한다. |
아이디어발상 | 게임 산업과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의 창의적인 기획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이의 적용 사례를 참고하여 실제 게임 기획에 필요한 브레인스토밍 기법과 스토리보드 제작 과정 등을 배운다. |
과정 | 과목명 | |
---|---|---|
1학기 | 인문학Ⅰ | 국어문법 |
2학기 | 인문학Ⅱ | 시나리오 설정 |
3학기 | 포트폴리오Ⅰ |
시행청 | 관련자격증 | 인정학점 |
---|---|---|
한국콘텐츠진흥원 | 게임기획전문가 | 전공 20학점 |